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3893635?sid=101
국제 설탕값 11년 사이 최고치…기상이변으로 더 오를 수도
미 CNBC 방송 보도…수요 증가·이상 기후 등 악재 겹쳐 국제 설탕 가격이 최근 11년 사이 최고 수준으로 치솟고 있으며 예상되는 기상 이변으로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미국 CNBC
n.news.naver.com
식퓸 가격 인상으로 직결되는 만큼 원자재 상승이 무섭게 치솟는 중이다.
이런 원자재 인상은 물가 상승을 견인하여 인플레이션을 촉진 시키는데 과연 부동산 같은 시장에서는 어떻게 작용할지 의문이다.
참고로 지인이 최근 단독 주택을 짓는데 평당 890만원으로 계약했다고 한다. 불과 육칠년전만해도 지인들이 평당450만원 시세로 건축했는데 세상 물가 상승이 체감된다.
결국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원자재 인플레이션은 전 세계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중 하나다)
첫째, 건설 비용 상승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먼저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는 부분은 건설 비용이다. 원자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건설 재료의 가격 상승이 발생하면 건설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건설업자들은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파트 가격을 높이게 되며, 이는 부동산 시장 전체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둘째, 대출 금리 상승
원자재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조시키는데, 이는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되어 대출금리가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다. 이로 인해 부동산 구매자들은 대출금리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증가하게 되며, 아파트 구매에 대한 수요가 감소할 수 있다.
셋째, 투기성 수요 감소
원자재 인플레이션은 부동산 시장에 투기적 요소를 부추기는데, 이는 부동산 투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대출금리 상승,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원자재 인플레이션에 따른 부담 증가로 인해 투기성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넷째, 투자 흐름 변화
원자재 인플레이션에 따라 투자 흐름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면서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인플레이션에 강한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 대응 자산으로 부동산 투자가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재테크 > 주식 및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아파트의 높이 제한 관련 생각 & 뉴스 - 여의도 재건축 아파트 70층까지 올라간다 (4) | 2023.04.29 |
---|---|
연금관련 뉴스 - 국민연금 한푼이라도 더 받으려면 가입기간부터 늘리자 (0) | 2023.04.26 |
주식 고점 신호? 코스닥 '빚투' 과열주의보…투자경고·위험 종목 급증 (0) | 2023.04.23 |
가열되는 인공지능 전쟁...구글 ‘바드’, 한국 상륙 뉴스 (0) | 2023.04.20 |
韓 세계 수출점유율 14년만에 최저… “반도체 의존 수출 적신호” 기사 (0) | 2023.04.18 |